한국어에는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외래어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그중에서도 일본어에서 유래된 단어들은 우리의 일상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어, 본래의 출처를 의식하지 못한 채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오늘은 한국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일본어에서 유래된 단어들과 그 의미, 그리고 올바른 한국어 표현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1. 생활 속에서 흔히 쓰는 일본어 유래 단어
가라오케 (カラオケ)
- 유래: 일본어에서 "비어 있는"(空)와 "오케스트라"(オーケストラ)를 합친 단어.
- 설명: 본래는 반주 음악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시스템을 가리킴.
- 대체 표현: 노래방.
기스 (キズ)
- 유래: 일본어에서 "흠집"이나 "상처"를 뜻하는 단어.
- 설명: 주로 물건에 생긴 긁힌 자국을 말할 때 사용.
- 대체 표현: 흠집, 상처.
기모 (起毛, きもう)
- 유래: 일본에서 보풀을 세운다는 뜻
- 설명: 보풀을 세운다는 뜻
- 대체 표현: 딱히 대체 용어가 없음. 담요 할 때 '담(毯)'이라는 말이 있어 경상도에서는 '이 바지에 담이 들었다'라는 표현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습니다.
나가리 (流(なが)れ)
- 유래: 일본어에서 '무효'라는 의미
- 설명: 어떤 일이 무효가 되거나, 계획이 허사가 되거나 중단되었을 때
- 대체 표현: 깨짐, 유산, 허사, 무효 등
나시 (なし)
- 유래: 일본어에서 "없음"을 뜻하는 단어.
- 설명: 주로 민소매 옷을 뜻하는 말로 쓰임.
- 대체 표현: 민소매.
넨네 (ねんね)
- 유래: '넨네'는 일본 유아어인 'ねんね'이며 '자다' 라는 뜻
- 설명: 아이를 재울 때 쓰는 말
- 대체 표현: 자자~, 자장자장~
단도리 (段取り)
- 유래: 일본어에서 "일을 처리하기 위한 순서나 준비"를 뜻함.
- 설명: 사전 준비나 계획을 의미.
- 대체 표현: 준비, 계획.
맘마 (まんま)
- 유래: 밥이라는 뜻의 일본말 유아어
- 설명: 먹을 것
- 대체 표현: 밥, 식사
무대뽀 (無鉄砲, むてっぽう)
- 유래: 화승총도 없이 무모하게 돌격하는 어리석은 장수
- 설명: 깊이 생각하는 신중함이 없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
- 대체 표현 : 무모하게, 다짜고짜, 막무가내, 대책 없이
뗑깡 (てんかん)
- 유래: 일본어에서 "발작"을 뜻함.
- 설명: 한국에서는 주로 억지를 부리거나 떼를 쓰는 행동으로 오해되어 사용됨.
- 대체 표현: 억지, 떼쓰기.
보루 (ボール)
- 유래: 일본어에서 "골판지 상자"를 뜻함.
- 설명: 포장용 골판지를 말할 때 사용.
- 대체 표현: 골판지.
빵꾸 (パンク)
- 유래: 일본어에서 "펑크"를 뜻함.
- 설명: 타이어에 구멍이 나거나 약속을 어기는 상황을 지칭.
- 대체 표현: 구멍, 약속 파기.
아다리 (当たる)
- 유래: 적중하다, 맞다
- 설명: 기대하는 바에 상황이 잘 맞춰지다
- 대체 표현: 운이 좋아서, 타이밍이 좋아서
앗사리 (あっさり)
- 유래: '시원스럽게, 담박하게, 산뜻하게, 간단하게, 깨끗이'라는 뜻
- 설명: '차라리'라는 의미로 사용
- 대체 표현: 오히려, 차라리
야키소바 (焼きそば)
- 유래: 일본어에서 "볶음국수"를 뜻함.
- 설명: 한국에서도 종종 일본식 볶음국수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됨.
- 대체 표현: 볶음국수.
와꾸 (わく)
- 유래 : 테두리(枠, frame)의 일본 단어
- 설명 : 앞으로의 업무 진행이 어긋날 것 같거나, 설계가 딱 떨어지지 않는 상황
- 대체 표현 : 테가 안 난다, 견적이 안 나온다.
유도리 (ゆとり)
- 유래 : 일본말 소리는 '유토리'에 가깝습니다. 직역하면 '여유'라는 뜻
- 설명 : 한국에서는 엉뚱하게도 '융통성'이라는 의미로 사용
- 대체 표현 : 융통성
짬뽕 (ちゃんぽん)
- 유래: 일본 나가사키 지역의 음식 이름.
- 설명: 한국에서는 국물과 다양한 재료가 섞인 음식을 뜻함.
- 대체 표현: 섞음 국수.
찌찌 (ちち)
- 유래: 아가한테 젖을 줄 때 쓰거나, 신체의 젖을 칭하는 유아어로 쓰이는 말
- 설명: 동일한 의미로 사용
- 대체 표현: 가슴, 젖
곤로 (コンロ)
- 유래: 일본어에서 "버너"를 뜻함.
- 설명: 주로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지칭.
- 대체 표현: 가스버너.
가방 (鞄)
- 유래: 일본어에서 "가방"을 뜻함.
- 설명: 일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어.
- 대체 표현: 손가방, 배낭.
지라시 (チラシ)
- 유래: 일본어에서 "전단지"를 뜻함.
- 설명: 광고지나 전단으로 흔히 사용됨.
- 대체 표현: 전단지.
쿠사리 (くさり)
- 유래: '더러운', '썩어빠진' 등의 뜻을 가진 일본어 쿠사레(腐れ, くされ)에서 왔다는 추측
- 설명: 광고지나 전단으로 흔히 사용됨.
- 대체 표현: 핀잔, 비웃음, 잔소리, 면박, 꾸중.
2. 패션과 미용에서 유래된 단어들
곤색 (紺色)
- 유래: 일본어에서 "짙은 남색"을 뜻함.
- 설명: 어두운 파란색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.
- 대체 표현: 짙은 남색, 진청색.
루즈 (ルージュ)
- 유래: 프랑스어가 일본을 거쳐 전파된 단어.
- 설명: 립스틱을 의미.
- 대체 표현: 립스틱.
와사비 (わさび)
- 유래: 일본에서 유래된 매운 맛을 내는 식물 이름.
- 설명: 한국에서도 회나 초밥에 사용하는 양념으로 널리 알려짐.
- 대체 표현: 고추냉이.
짝퉁 (ちゃっちい)
- 유래: 일본어에서 "가짜"를 뜻하는 단어에서 변형.
- 설명: 위조품이나 모조품을 지칭.
- 대체 표현: 가짜, 모조품.
메리야스 (メリヤス)
- 유래: 일본어에서 "니트 원단"을 뜻함.
- 설명: 주로 속옷이나 내복 재질을 지칭.
- 대체 표현: 편물, 니트.
3. 음식 관련 일본어 유래 단어들
돈가스 (豚カツ)
- 유래: 일본어에서 "돼지고기"(豚)와 "커틀릿"(カツ)의 합성어.
- 설명: 튀긴 돼지고기 요리를 지칭.
- 대체 표현: 돼지고기 커틀릿.
모찌 (餅、もち)
- 유래: 본래 일본에서 떡(餠)을 이르던 말
- 설명: 일본식 찹쌀 경단을 지칭
- 대체 표현: 찹쌀떡
앙꼬 (餡子、あんこ)
- 유래: 떡이나 빵"안(속)에 들어가는 콩이나 팥고물
- 설명: 우리말로는 팥소입니다.
- 대체 표현: 팥
우동 (うどん)
- 유래: 일본에서 전래된 국수 이름.
- 설명: 한국에서도 두꺼운 면 요리를 지칭.
- 대체 표현: 두꺼운 면국수.
오므라이스 (オムライス)
- 유래: 일본어에서 "오믈렛"과 "라이스"의 합성어.
- 설명: 달걀로 감싼 볶음밥 요리를 말함.
- 대체 표현: 계란 덮밥.
사라다 (サラダ)
- 유래: 일본어에서 "샐러드"를 변형한 단어.
- 설명: 한국에서도 야채 샐러드를 의미.
- 대체 표현: 샐러드.
가츠동 (カツ丼)
- 유래: 일본어에서 "돈가스 덮밥"을 뜻함.
- 설명: 밥 위에 돈가스를 얹은 요리.
- 대체 표현: 돈가스 덮밥.
미소 (味噌)
- 유래: 일본어에서 "된장"을 뜻함.
- 설명: 일본식 된장을 지칭.
- 대체 표현: 된장.
찌개다시, 스끼다시 (つきだし)
- 유래: 일본어 단어인 突き出し에서 유래, 일본어에서 원래 뜻은 오토시(お通し)와 동일하며, 술집이나 식당 등에서 내놓는 간단한 전채류를 뜻
- 설명: 일본 요리 중 술안주 등으로 처음에 내놓는 간단한 요리
- 대체 표현: 밑반찬
4. 게임과 스포츠에서 유래된 단어들
고라니 (コラボ)
- 유래: 일본어 "콜라보레이션"(협업)에서 비롯.
- 설명: 팀 작업이나 협력 관계를 의미.
- 대체 표현: 협업.
다마 (玉)
- 유래: 일본어에서 "구슬"이나 "공"을 뜻함.
- 설명: 주로 작은 공을 가리킬 때 사용.
- 대체 표현: 구슬, 공.
쓰리쿠션 (スリークッション)
- 유래: 일본어에서 당구 용어로 전파됨.
- 설명: 당구에서 세 번 쿠션에 맞는 기술을 지칭.
- 대체 표현: 세 쿠션.
마치며
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일본어 유래 단어들은 오랜 시간 한국어에 녹아들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이러한 단어들의 정확한 유래와 대체 표현을 알아두면 올바른 한국어 사용에 큰 도움이 됩니다.
그런데 이미 익숙해진 단어들이 많다 보니 대체 표현이 어색하다고 느낀 경우도 많네요.
앞으로는 이 단어들을 사용할 때 그 배경을 한 번 더 떠올리며, 가능한 한 순우리말이나 적절한 한국어 표현으로 바꿔 사용해 보는 건 어떨까요?